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버 ↔ 브라우저 요청 정리

수업 일지/Servlet

by NayC 2021. 4. 12. 13:07

본문

728x90

출처 : https://youtu.be/yBPyzaccbkc

 

출처 : 37일차 servlet5

Servlet(서블릿)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간단히 말해서,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런데 좀더 들어가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서블릿(Servlet)입니다. 그래서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 된 *CGI라고 흔히 말합니다.

mangkyu.tistory.com/14

 

1. http://서버주소/calc.html 

-> 정적인 문서가 request 오면 그냥 calc.html 꺼내서 전달해주면 됨. easy! 

2. 그런데 http://서버주소/calc?x=3 

-> 동적인 문서가 request오면 '실행'을 시켜줘야 함. 

정적인 문서가 아니라 java로 만들어낸 class 파일을 두게 될 것
-> 사용자 요청이 오면 class 파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

출처 : 32일차 servlet1

 

동적 문서 처리
정적 문서 처리

 

코드를 실행시켜주기 위해 로드하는 공간이 필요 (was) 

 

1) 내가 ???(Nana든, 뭐든) 어떤 이름으로 만들든 참고할 수 있어야

2) 중간다리 HttpServlet 참조형이 있어야 함 (내가 만든걸 톰캣이 이 이름으로 참조할 것)

- 그리고 약속된 함수들이 있는데, 함수가 없어도 구현이 되기는 함

- 서비스 함수를 구현하게 될 것 

 

override 하는 것 (service 함수를 재정의)

 

1. 메모리야~~ 내가 만든 Nana를 올려다오~~ 그리고 이름은 na로 할게  

<servlet> 

  <servlet-name>na</servlet-name> 아래가 메모리 올라가면 객체 되는데 na는 참조명이 되는 것

  <servlet class = class>com.minting.web.Nana</servlet class = class>

</servlet>

 

패키지명을 꼭 같이 써야한다는 것!!

 

2. 메모리에 올려준거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 (요청 명칭 정의) 

<servlet-mapping> 

  <servlet-name>na</servlet-name>

  <url-pattern>min</url-pattern>

</servlet-mapping> 

 

사용자가 min이라는 요청이 왔을 때 실행해줘!! 

 

// 

1. 요청이 들어온 것 min

2. 그리고 이 자체를 na라고 참조변수

3. 요청한거 실행해주려고 na na na na 찾다가 우리가 만들어준 Nana 파일을 채택할 수 있게 되는 것


이제 콘솔 출력에서 벗어나 웹출력을 배우게 되는 것~

 

request : 사용자가 요청

response : 우리가 사용자에게 응답

 

이 도구들을 활용해서 웹 입출력이 가능해진다.

 

-> 이러면 웹에서도! Hello 저 글자들이 뜬다!

저기 아래 함수가 out으로 시작한다는거! (이걸 계속 안고쳐서 안떴었음)


이제 web.xml에 올리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도 요청이 들어오면, response 해주는 방법이 있다. (이게 37일 servlet5) 

 

/calc 주소로 요청이 오면

우선 근간을 알아야해서 설정 파일이 필요함 (web.xml)

"url 맵핑해서 /calc가 있다면 class Calc를 실행하게 해줌도록"

2가지 방법

- (저번주 nana 파일 해줬던 것처럼) web.xml에 하나하나 직접 맵핑하는 방법

- 톰캣에서 실행되도록 해주는 방법 

 

톰캣에 2가지 주요 도구가 있다.

1. request (입력 도구)

2. response (출력 도구) - 호출 시 참조를 전달함 

 

 

728x90
반응형

'수업 일지 > 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증 서블릿 필터  (0) 2021.05.29
55일차. Servlet 17 - ★CRUD (2)  (0) 2021.05.07
54일차. Servlet 16 - ★CRUD (1)  (0) 2021.05.06
Servlet 페이지들 관계 정리  (0) 2021.05.05
38일차. Servlet 6  (0) 2021.04.13

관련글 더보기